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애인차량할인혜택 (1분 요약정리)

by 블루스톤즈 2025. 4. 7.

장애인 차량 할인 혜택, 다양한 지원 내용 총정리

 

장애인 차량 할인 혜택은 세금 감면, 통행료 할인, 주차 요금 감면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이동 편의를 증진시킵니다.

 

"장애인"의 모든 내용을 한 글에 담기에는 너무 복잡해서 여러 글로 나누어 올렸습니다. 이 포스팅은 "장애인" 중에서도 "장애인차량할인혜택"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장애인"에 관한 전체 글을 확인하려면 여기를 통해 모두 확인 가능합니다.

장애인 확인

 

 

<<목차>>

1. "장애인차량할인혜택" 필수 요점 3가지

 1) 세금 감면 혜택
 2) 도시철도채권 구입 의무 면제
 3) 자동차 검사 수수료 감면
2. 그 밖에 알아두어야 할 정보 4가지
 1)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2) 공영주차장 주차 요금 감면
 3) LPG 연료 사용 허용
 4) 이동통신 요금 감면

 

1. "장애인차량할인혜택" 필수 요점 3가지

1) 세금 감면 혜택

장애인 차량 할인 혜택 중 가장 큰 부분은 세금 감면입니다.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승용차를 구입할 경우, 최대 500만 원 한도로 개별소비세와 교육세가 면제됩니다. 또한, 배기량 2,000cc 이하의 승용차 등 특정 차량에 대해 취득세와 자동차세가 전액 면제됩니다. 이러한 세금 감면은 장애인 본인 명의 또는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는 보호자와의 공동 명의로 등록된 차량 1대에 한해 적용됩니다. 세부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 도시철도채권 구입 의무 면제

자동차 등록 시 필수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도시철도채권의 구입 의무가 면제됩니다. 이는 비사업용 승용차, 15인승 이하 승합차, 3.5톤 이하 화물차 등 특정 차량에 적용됩니다. 장애인 본인 또는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는 보호자와 공동 명의로 등록된 차량 1대에 한해 해당됩니다. 이러한 혜택은 차량 등록 시 장애인등록증 등을 제출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할 시·군·구청 차량등록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3) 자동차 검사 수수료 감면

장애인 차량은 정기 및 종합검사 시 검사 수수료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은 50%, 심하지 않은 장애인은 30%의 감면이 적용됩니다. 승용차, 12인승 이하 승합차, 적재량 1톤 이하 화물차 등이 대상입니다. 이러한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검사 시 장애인등록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교통안전공단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 그 밖에 알아두어야 할 정보 4가지

1)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장애인 차량은 고속도로 통행료의 50%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장애인 자동차 표지가 부착된 차량에 장애인이 탑승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일반 차로에서는 통행권과 할인카드를 제시하면 되며, 하이패스 차로에서는 지문인식기 등을 통해 본인 확인 후 할인이 가능합니다. 경차와 영업용 차량은 제외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도로공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 공영주차장 주차 요금 감면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때 장애인 차량은 주차 요금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50%의 할인을 제공하지만, 지역별로 감면율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일정 시간 면제 후 추가 요금을 할인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장애인등록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세부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3) LPG 연료 사용 허용

장애인 차량은 승용차에 한해 LPG 연료 사용이 허용됩니다. 이는 휘발유 차량을 LPG 차량으로 구조 변경하거나, 출고 시부터 LPG 차량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가능합니다. 구조 변경 시에는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가스완성검사와 자동차 검사소의 구조변경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운전자는 가스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할 지자체 자동차 등록과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4) 이동통신 요금 감면

장애인은 이동통신 요금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비 면제, 기본료 및 통화료 35% 할인 등의 혜택이 제공됩니다. 이는 등록 장애인, 장애인 복지시설, 장애인 복지단체, 특수학교, 아동 복지시설 등이 대상입니다. 해당 통신사에 신청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통신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장애인" 정보가 더 궁금하신가요?

아래에서 "장애인" 관련
모든 글을 무료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확인